본문 바로가기

취미부자/독서 기록

[도서]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기있는 ETF "월급쟁이 재테크 상식사전"/ 2주차

 

* 길벗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

 

 

 

 

 

재테크는 무조건 분산해야 한다.

주식/펀드/채권/원자재/달러 투자 처럼 방법도 분산해야 하고

주식이나 펀드 내에서도

섹터의 분산, 종목의 분산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위험에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수익성을 놓칠수 있는거 아니야? 하는 질문을 할 수 있다.

그건 아마 재테크(혹은 투자)를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일것이다.

투자에서는 수익성만 생각할 수 없다.


1. 어떤 종목이 상승할 지 아무도, 그 누구도 모른다.

2. 상승장이 언제 끝날지 어떤 위험이 있을지 아무도 모른다.

3. 투자는 수익보다 절대적으로 손해를 먼저 피해야 한다.

( - 를 +로 바꾸기 위해선 더 큰 시간과 돈이 필요하다)


 

 

 

월급쟁이 재테크 상식사전
ETF투자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여러 종목에 분산해서 투자하기 쉽도록 한 ETF가 매우 인기 있다.

우리나라도 각 자산운용사에서 다양한 ETF 상품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소비자(투자자)에게 각인시키기 위해 많은 홍보도 진행하고 있다

 

 

ETF 이름 확인

 

 

- ETF의 장점은

1. 분산 투자가 가능하다 (국내 etf의 경우 10종목 이상으로 구성해야 함)

2. 운용보수가 저렴하다 (커버드콜, 레버리지 상품은 운용보수가 클 수 있음)

3. 쉽게 매수/매도가 가능하다 

 

 

 

- ETF의 단점

하지만 이런 ETF의 장점만 있는것은 아니다.

특정 종목의 상승이 매우 높다 하더라도 해당 종목이 포함된 ETF가격은 그 상승분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다.

즉 개별종목에 투자할 때보다는 가격상승이 덜하다.

 

 

 

하지만 지수ETF의 경우 길게 적립식으로 투자 했을 때,

우상향 한다는 오랜 자료가 있고 리벨런싱의 걱정도 없기 때문에

나는 주로 ETF위주로 투자를 하고 그중 유망한 종목의 경우 개별주를 조금씩 매수하고 있다.

 

 

 

 

- 추가 정보

ETF를 선택할 때 운용보수, 분배금 기간, 보유종목, ETF규모 등을 확인하고 선택해야 하는데

각 자산운용사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KODEX, TIGER, ACE, RISE, PLUS 등등 각 홈페이지를 모두 확인하는데 번거로움이 있다.

 

ETF에 대한 정보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곳이 있다

>> ETF CHECK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여러개 있을 경우, 

여기에서 서로 비교해보고 ETF를 선택하기 쉽다.

 

 

 

 


나의 2025 ETF포트폴리오에는

미국지수추종 ETF 2종과

국내 고배당 ETF 1종, 유망해보이는 섹터 ETF 1종,

해외 개발도상국 지수추종 ETF를 모으기로 했다.

그리고 커버드콜은.. 우선 시작했는데 분배금 상황을 보고 결정하기로!

나의 ETF 종목
ETF 종목

 

 

원자재 ETF도 있지만, 트럼프때문에 유가는 내려갈것으로 예상되고(아닐수도 있지만)

금은 ETF보단 현물계좌가 더 좋은것 같아서 현물계좌에서 조금씩 모으기로.

 

 

 

 

월급쟁이 재테크 상식사전
월급쟁이 재테크 상식사전

 

 

2025년 , 모두 성공적인 재테크 하시길!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